
대전시민이라면 한 번쯤 들어본 대전e음! 하지만 정작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, 온라인 사용이 가능한지 헷갈리신 적 있으신가요?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대전e음 사용처를 중심으로, 실제 결제 가능한 가맹점, 사용 제한 업종, 조회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✅ 대전e음 사용처란?
대전e음 사용처란 대전광역시 내에 등록된 소상공인 가맹점을 의미합니다. 대전e음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9년부터 운영된 지역화폐로, 현재는 시민 100만 명 이상이 이용 중인 대표적인 지역 플랫폼입니다.
2025년 기준으로 카드형, 모바일형 모두 지원되며, 대전 내 전 지역의 음식점·마트·병원·편의점 등에서 자유롭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. 단, 대형마트·백화점·유흥업소 등 일부 업종은 정책상 결제가 제한됩니다.



🏪 대전e음 주요 가맹점 목록
대전e음 사용처는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합니다. 대전 전 지역(동구, 서구, 유성구, 중구, 대덕구)에 걸쳐 약 13만 개 이상의 가맹점이 등록되어 있습니다. 아래 표는 주요 업종별 결제 가능 매장 예시입니다.
| 구분 | 주요 사용처 예시 |
|---|---|
| 편의점 | CU, GS25, 세븐일레븐 (가맹점 한정) |
| 음식점 | 한식당, 분식집, 치킨집, 카페 등 일반 음식점 |
| 마트/소매점 | 동네마트, 정육점, 과일가게, 생활용품점 |
| 병원/약국 | 지역 의원, 치과, 한의원, 약국 |
| 기타 | 미용실, 학원, 세탁소, 주유소(가맹점 한정) |
대전e음은 ‘제로페이’ 결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, 제로페이 로고가 있는 매장이라면 대부분 결제가 가능합니다. 또한, 2025년부터는 일부 지역 전통시장에서도 QR결제 방식으로 확대되었습니다.
🚫 사용 가능한 업종과 불가 업종
대전e음 사용처는 소상공인 매장에 한해 등록됩니다. 정책상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은 다음과 같습니다.
| 사용 가능 업종 | 사용 불가 업종 |
|---|---|
| 식당, 카페, 편의점, 병원, 약국, 학원, 미용실 | 대형마트, 백화점, 유흥주점, 사행성 업소, 온라인몰 |
특히, 네이버페이·쿠팡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대전e음 사용처로 결제가 불가합니다. 단, 대전시가 운영하는 공식 온라인 전통시장 플랫폼에서는 시범적으로 일부 품목 구매가 가능합니다.
📱 대전e음 사용처 조회 방법
대전e음 사용처는 공식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히 조회할 수 있습니다. 가장 편한 방법은 대전e음 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
- 대전e음 앱 실행 → 하단 메뉴 ‘가맹점 찾기’ 선택
- 현재 위치 기반으로 주변 사용처 자동 표시
- 검색창에 업종 입력 (예: 카페, 병원, 마트)
- 지도상에서 결제 가능한 가맹점 위치 확인
또한, 대전e음 홈페이지나 각 구청 홈페이지에서도 PDF 형식으로 ‘가맹점 리스트’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예: “유성구 대전e음 사용처”, “서구 대전e음 가맹점 리스트”



💡 대전e음 혜택 및 스마트 사용 팁
대전e음 사용처를 현명하게 이용하면 혜택이 상당합니다. 다음은 2025년 기준 대전e음 사용자들이 꼭 알아야 할 혜택입니다.
- 충전 시 최대 10% 캐시백 인센티브 (예산 소진 전까지)
- 결제 시 소득공제 30% 적용 (신용카드보다 높음)
- 대전시 특화 이벤트(예: 전통시장 페이백, 상점 할인전)
- 앱 내 포인트 통합관리 및 결제내역 자동 저장
특히 대전e음 사용처 중 전통시장 가맹점에서는 추가 포인트 적립 이벤트가 자주 열립니다. 앱 공지사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면 생활비 절약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대전e음 사용처 최신 정보를 모두 정리했습니다. 대전시민이라면 필수로 알아야 할 생활형 결제 수단인 만큼, 가맹점 정보와 혜택을 잘 활용해 지역경제에도 보탬이 되는 스마트 소비를 실천해보세요.

